폐암은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평균수명 기준으로
남성 77세 5명 중 2명
여성 84세 3명 중 1명 정도로는
암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폐암.. 그 원인의 85%는
"흡연"이 차지한다고해요.
흡연.. 간접흡연도 포함해서
폐암의 가장 중요한 발병 요인입니다.
장기간의 간접흡연은
폐암 발생을 1.5배 증가 시킨다고 하니
흡연을 하는 당사자 뿐만아니라
주변의 지인. 그리고 가족들까지
위협하는 거죠.
이제 흡연에 대한 경각심을
조금은 가지시게 되신다면
차근차근 금연을 계획하시면 좋습니다.
호흡기내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스마트내과에서는
다양한 금연 치료 사례 및 경험과
높은 금연 성공률에 근거하여
전문적인 상담 및 지지요법, 약물 처방으로
금연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약물요법은 전문의와의 전문 상담을 통해서
환자에게 알맞는 약으로 맞춤처방드립니다.
국민건강보험 금연치료 지원 (연 3차까지 지원 가능)
– 1차 12주 약물 요법, 6회 외래 상담 및 진료
– 1~2회 진료/약제비 본인부담금 20% 발생, 3회부터 전액 무료
– 저소득층/의료급여 → 1회 진료/약제비부터 전액 무료
– 12주/6회 프로그램 이수 후 1~2회 본인부담금 환급 신청
금연 방법
– 자기 의지
–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상담전화, 등
– 금연보조제 (니코틴 패취, 껌, 정제 등), 금연침, 금연초, 전자담배 등
– 금연치료제 (가장 효과적, 12주 복용 후 6개월 금연성공율 52.2%)
– 금연 캠프; 전문치료형 4박5일, 단기 1박2일
흡연 = 니코틴 중독 + 습관 (특히 음주, 스트레스 관련)
– 음주 중 하루 흡연을 금연 실패로 포기하지 않기
⇒ 실수로 인정하고 다시 금연 유지
– 습관적인 흡연 개선
⇒ 식후, 스트레스, 주위 권유로 인한 흡연 욕구 시 행동 요법
금단 증상
– 식욕 증가 불안/우울 집중력 부족 초조/공격성
– 3~7일까지 최고 → 약물과 병행 시 처음부터 거의 해소
– 행동 요법 병행으로 해소
⇒ 물, 차, 사탕, 은단, 과일, 채소 등으로 흡연 욕구를 대체
금연 치료제
– 뇌의 니코틴 수용체에 니코틴 대신 약물이 결합하여 흡연 욕구와 금단 증상을 해소
– 금연 준비; 저용량으로 1주간 복용, 니코틴 의존도가 높은 경우 단계적 흡연 감량
– 금연 시작; 2주차부터 본격적인 금연과 함께 정용량 치료제를 12주까지 유지
– 부작용; 10% 미만으로 드물고 경미한 증상, 대부분 약물 요법으로 해소 가능
니코틴 의존도 검사
1. 아침에 일어나서 얼마 만에 첫 번째 담배를 피우십니까?
□ 5분 이내 (3점) □ 6-30분 (2점)
□ 31-60분 (1점) □ 60분 이후 (0점)
2. 당신은 금연구역(병원, 도서관, 극장 등)에서 흡연 욕구를 참기가 어렵습니까?
□ 예 (1점) □ 아니오 (0점)
3. 하루 중 담배 맛이 가장 좋은 때는 언제입니까?
□ 아침 첫 담배 (1점) □ 그 외의 담배 (0점)
4. 하루에 보통 담배를 몇 개비나 피우십니까?
□ 10개비 이하 (0점) □ 11-20 개비 (1점)
□ 21-30 개비 (2점) □ 30개비 이상 (3점)
5. 아침에 일어나서 처음 몇 시간 동안 피우는 흡연 양이 하루의 다른 때보다 더 많습니까 ?
□ 예 (1점) □ 아니오 (0점)
6. 몸이 아파서 하루 종일 누워있는 날에도 담배를 피우십니까?
□ 예 (1점) □ 아니오 (0점)
◀ 니코틴 의존도 판정 ▶ 총 점수 : (점)
〇 1~3점 : 니코틴의존도가 낮은 상태
〇 4~6점 : 니코틴의존도가 중간 상태
〇 7~10점 : 니코틴의존도가 높은 상태
* 1번과 4번은
흡연지표(Heaviness of Smoking Index, HSI)로
두 문항 합계가 4점 이상이면
니코틴 의존도가 높다고 평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