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성 폐결핵

활동성 폐결핵

활동성 결핵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한 후 
공기 중에 떠다니는 비말핵을 마시게 되면 
결핵균이 폐 속으로 들어가 
결핵균에 감염됩니다. 
하지만 활동성 결핵환자와 접촉했다고 해서 
모두 결핵이 발병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개 접촉자의 30% 정도가 감염되고 
감염된 사람의 10%정도가 결핵 환자가 되며 
나머지 90%의 감염자는 평생 건강하게 지냅니다. 
발병하는 사람들의 50%는 
감염 후 1~2년 안에 발병하고 
나머지 50%는 그 후 일생 중 특정 시기에, 
즉 면역력이 감소하는 때 발병하게 됩니다.
결핵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결핵으로 진단받고 약을 복용한지 
2주가 되지 않은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 결핵 중 폐결핵이 90% 이상 차지하고 
그 외에 가슴의 흉막, 임파선, 뇌, 
척추, 관절, 신장, 간, 대장, 
복막 및 생식기 등에도 발생 가능합니다.

결핵의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으로 2주 이상 계속되면 
결핵을 의심해야 합니다. 
폐결핵이 심해지면 가래와 함께 
객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외 전신무력감과 식욕부진, 체중감소, 
발열, 흉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결핵의 진단을 위해 흉부방사선촬영을 하고 
이상소견이 나타나면 
결핵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가래 검사를 통해서 
결핵균이 배출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객담 배출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 
유도객담검사, 기관지내시경, 조직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결핵은 항결핵제를 거르지 않고 6개월 이상
꾸준히 먹으면 완치 가능한 질병입니다. 
약 복용 후 2주가 경과하면
전염렴이 소실되므로
정상적인 일상 및 직장 생활이 가능합니다.
일부 결핵약 복용 중 속쓰림, 구역/구토, 
발열, 관절통, 두드러기, 간기능 이상 등의 
부작용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약 복용을 중단하거나 불규칙하게 먹게 되면 
내성이 생기기 쉽고 
내성이 생기면 2차 약으로 바꿔야 합니다.